하이패스 단말기 등록 방법, 주파수(RF)방식과 적외선(IR)방식 차이
하이패스 단말기 사용이 처음이라면? 하이패스 단말기 등록하는 방법과 단말기의
2가지, 주파수 방식과 적외선 방식에 대해 정리해본다.
하이패스 단말기 등록하기
1) 먼저 '고속도로 통행료 홈페이지(www.hipass.co.kr)'에 접속한다.
①하이패스 단말기 → ②'USB 연결'에서 '등록 및 정보조회'
2) ③'Agent 프로그램 실행'을 눌러서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한다.
3) 하이패스 단말기를 동봉된 케이블을 이용하며
컴퓨터와 연결한다.
4) 컴퓨터 우측 하단에 숨겨진 아이콘 표시를 눌러 exAgent 실행을 확인하고,
④'Agent 프로그램 실행확인'을 누른다.
5) 차량 정보를 입력한다.
차량 번호 입력 시, 지역표시가 없는 녹색번호판의 경우 '전국'을
선택. (요즘 '서울 00 가 0000'처럼 지역이 명시된 번호판과 녹색번호판은 보기 쉽지
않지만)
6) 휴대폰을 통한 간단한 ⑤'본인 인증'을 진행한다.
7) 약관 동의 후, '단말기 등록'을 누르면 끝.
하이패스 단말기 작동 방식 2가지
하이패스 단말기는 크게 두 가지 방식이 있다.
1) 적외선 방식(IR)
앞유리에 부착해서 사용하는 IR 방식은 일반적으로 건전지를 사용하거나 별도의
태양광 거치대로 충전한다.
2) 주파수 방식(RF)
보통 조수석 글로브 박스 안이나 운전석 옆 콘솔박스에 넣어(콘솔박스 안에
시거잭이 있다면)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방식의 단말기.
오늘의 한마디
만도, 현대모비스의 하이패스는 지패스(G-pass)의 제품으로 같은 제품.
ap350s는 IR, ap500s는 RF방식의 단말기임.
처음엔 IR방식인 ap350s를 사용하다가, 앞유리에 부착한 단말기가 눈에 거슬려서 RF방식인 ap500s로 바꿈.
가끔 인식 오류가 발생. 특정 톨게이트의 문제 같은데 정확한 건 알 수 없음.